[리벨서스 25년 1분기 1.2조 매출] 연매출 100조 원 향하는 당뇨·비만 GLP-1RA [출처: 스카이데일리]

연매출 100조 원 향하는 당뇨·비만 GLP-1RA

노보노디스크의 GLP-1 수용체 작용제 세마글루타이드 성분(오젬픽, 리벨서스, 위고비)의 매출이 1분기 11조 8천억원을 기록하며 의약품 최대 매출 품목인 MSD의 면역항암제 키트루다 실적을 넘어섰다.
 
릴리 역시 같은 기간 터제파타이드(마운자로, 젭바운드)로 8.6조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무섭게 추격하고 있다.
 
릴리와 노보노디스크가 최근 발표한 1분기 실적발표에 따르면 세마글루타이드와 터제파타이드 성분의 2형 당뇨와 비만치료제의 매출은 각각 11.8조원과 8.6조원으로 합산해 20조 원을 넘어섰다.
 
건강보험 약제비 전체 시장규모가 23년 26조원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인크레틴(Incretin) 유사체 2개 성분의 단 한 분기 매출이 이에 근접한 규모로 성장하며 올해 연간 100조 원 시장 형성 가능성을 높였다.
 
제품별로는 세마글루타이드 성분의 2형 당뇨병을 적응증으로 하는 오젬픽이 327억 덴마크 크로네(한화 약 7조원), 2형 당뇨환자를 위한 경구제형인 리벨서스가 57억 덴마크 크로네(1.2조원), 비만치료제 위고비가 174억 덴마크 크로네(약 3.7조원) 등이다.
 
터제파타이드 성분으로 미국 제외 2형 당뇨병과 비만을 적응증으로 하는 마운자로의 매출은 38억 달러(한화 약 5.4조원), 미국에서 비만 적응증으로 승인받은 젭바운드가 23억 달러(약 3.2조원)이다.
 
이외 노보노디스크의 1일 1회 제형의 GLP-1RA 리라글루타이드(빅토자, 삭센다)의 매출과 주 1회 GLP-1RA 1세대 약물인 릴리의 둘라글루타이드(트루리시티) 등 4개 성분의 매출을 모두 더하면 노보노디스크 12.3조원, 릴리 10.1조원이다.
 
인크레틴 유사체의 시장 규모가 그간 가장 큰 시장 규모를 형성해왔던 키트루다를 위시한 PD-(L)1 면역관문억제제 시장규모를 지난 1분기 넘어선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양강체제를 구축하고 있는 노보노디스크와 릴리의 신경전도 치열하다. 양사 모두 가장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미국에서 과반이상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했다고 주장했다. 노보노디스크는 볼륨(매출/월단위 처방량) 기준으로 50.4%의 시장점유율을, 릴리는 처방건수 기준으로 53.3%의 시장점유율을 내세웠다.










코멘트를 남겨주세요

공지사항: 이벤트 관